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
2025 아워세트 : 김홍석×박길종
전시기간 |
2025-03-25~2025-10-12
(관람시간 10:00 ~ 18:00)
※관람시간 1시간 전까지 입장이 가능합니다. |
전시부문 | 기획전 |
---|---|---|---|
전시장소 |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 | 작가 | 김홍석, 박길종 |
주최 |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 | 후원 | |
관람료 | 무료 | 전시문의 | 031-228-4195 |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는 2022년부터 서로 다른 장르의 창작자가 만나 독특한 협업을 제시하는 ‘아워세트(Our Set)’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올해는 협업에 방점을 두기보다, 매체와 장르를 유연하게 확장해 온 김홍석과 박길종, 두 작가의 매체 실험에 주목하였습니다.
김홍석(1964-)은 회화, 드로잉, 영상, 퍼포먼스, 조각 등 다양한 매체로 미술의 형식과 통념을 뒤집으며 사회적 합의와 제도, 개념에 균열을 냅니다. 텍스트, 이야기, 목소리, 숨과 같은 비물질 재료들은 우리의 인식, 보이지 않는 힘의 작용과 위계, 제도를 투사합니다. 자본을 발판 삼아 압도의 경지를 추구하는 동시대 미술과 다른 김홍석의 스펙터클은, 현혹이 아닌, 중심과 주변부의 가장자리에서 끊임없이 일렁이는 파문을 응시하는 사유에 있습니다.
박길종(1982-)은 길종상가를 운영하며 관람객과 사용자의 중간 지대에서 사물의 새로운 조형성을 제시합니다. 박길종의 밝은 눈은 휘어진 책 선반, 폐지 줍는 할머니의 유모차, 생활용품, 힐끗 본 장면에서 사물의 독특한 질서를 포착합니다. 도구, 집기, 가구, 장치, 기구 등 쓰임에 따라 흩어져 있던 사물은 박길종의 침착한 손을 거쳐 경계를 확장하는 사물+오브제로 증식합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두 작가의 매체 실험에서 뼈 있는 농담의 무대를 발견합니다. 지금-여기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러닝타임(Running time),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를 발견하는 오픈 스테이지(Open stage), 잠시 환기하며 복기하는 인터미션(Intermission), 감각을 전환하는 백스테이지(Backstage)처럼, 네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소개합니다. 매 순간 다른 시점에 도착하는 관람객을 마중하려는 이 시도가 매개의 경험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러닝타임 박길종의 사물+오브제는 개막을 기점으로 정지된 전시의 시간을, 마치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공연처럼 작동시키는 윤활유와도 같습니다. 〈전시 보행기〉에는 유모차를 개조해 폐지를 담는 할머니의 지혜에서 포착한 사물의 질서가 담겨 있습니다. 관람객이 몸소 밀고 나가며 전시 관람을 위한 보조 기구로 사용할 때, 관람객과 동행하는 바퀴는 사용자, 관람객, 퍼포머를 하나로 겹쳐 놓는 움직임을 만들어냅니다. 이번 전시를 위해 고안된 또 다른 전시 보행기인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는 작가가 애용하는 자전거의 구성 요소와 청소 도구함의 쓰임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관람객이 전조등과 후미등으로 전시장 곳곳을 누비며 밝힐 때,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매일의 수고로운 청소는 여가와 노동시간을 동전의 양면처럼 포개 놓습니다. 기억과 영화 장면을 소품의 절묘한 배치로 의인화한 〈서울 허수아비〉의 한 축에서 자라나는 덩굴 식물, 층층이 쌓인 막대로 햇살과 그늘을 조절하는 〈공든 탑이 무너지랴?〉, 날마다 바람의 문턱을 만드는 〈언덕 위의 팔방풍〉은 매 순간 다른 시점에 도착하는 관람객을 마중하는 장치입니다.
오픈 스테이지 김홍석의 작업을 회화, 조각, 드로잉, 사운드, 퍼포먼스와 같이 매체로 구분 짓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로서 바라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특히, 비가시적인 장치로서 텍스트, 목소리(이야기), 숨과 같은 요소들에 주목합니다. <Oval Talk>는 완벽한 구의 형태의 조각을 만들고 싶었던 작가가 구의 기원을 신화처럼 창작하고, 영어로 번역하여 자신의 목소리로 낭독한 사운드, 조각, 설치입니다. 〈침묵의 고독〉은 퍼포머처럼 보이는 극사실 인체 조각입니다. 작가가 진술하는 이들의 직업, 연령, 상황, 작가와의 거래 조건은 위계, 윤리, 노동의 행간을 떠올리게 합니다. 〈공공의 공백〉은 도시 미관에 사용되었던 공공미술과는 다른, 개인의 행위가 중심을 이루는 무형의 공공미술을 제안하는 한 쌍의 글과 그림입니다. 〈여덟 개의 숨〉은 작가의 일화를 쓴 세 편의 텍스트가 동일한 형태의 조각과 쌍을 이루는 작업으로 단순하게 규정할 수 없는 작업의 복잡다단한 층위를 드러냅니다.
인터미션 막과 막 사이, 잠시 쉬어 가며 환기하는 인터미션처럼 두 작가를 나란히 소개합니다. 서로 다른 시대와 환경 속에서 작품 활동을 지속해온 두 작가의 간략한 정보와 함께 인터뷰 영상, 〈샌드위치〉에 꽂힌 전시 도록을 볼 수 있습니다. 김홍석은 1989년 독일로 유학을 떠났고 그곳에서 타자가 부여하는 한국성(Koreanness)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국가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모방한 서구의 모더니티가 세대를 걸쳐 축적되고 전이되며 개인의 사회문화 환경에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음을 발견합니다. 작가는 〈사군자-231234〉에서 코스노 믹(Kosgnoh Mig)이라는 허구의 작가를 내세워 1980년대 한국 미술대학에서 일본을 통해 번역된 서구 미술을 배운 자신을 은유하듯, 서구적 재료인 아크릴 물감과 모델링 페이스트로 동양의 매란국죽을 그려냅니다. 2000년대 후반은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되면서 이태원, 을지로, 창신동, 서교동 등지에서 일시적으로 공간을 점유하는 프로젝트들이 생겨나고, 신생공간이 탄생하는 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도시풍경 속에서 어긋난 파편을 발견해 온 박길종의 시선을 텅 빈 신도시에 대한 우화와도 같은 〈개미굴 체스〉와 연결해 봅니다. 휘어진 선반의 위태로운 형태를 반전시킨 〈샌드위치〉에는 사물에 리듬을 더하는 작가 특유의 유쾌함이 담겨 있습니다.
백스테이지 서로 다른 종(種)의 식물을 접목하듯 만든 박길종의 사물+오브제를 무대 이면의 백스테이지처럼 소개합니다. 수많은 종(種)이 번식하는 자연처럼, 도구, 집기, 가구, 장치, 기구 등 쓰임의 범주 밖에서 태어나는 사물+오브제는 우리가 정의 내리지 못하는 수만큼 증식해 나갑니다. 카테고리를 벗어난 증식은 효율성을 향한 일방향의 개량이 아니라, 도시 문명에서 박길종이 세심하게 고안해 낸 신묘한 공생입니다. 고통의 눈물을 닦아주는 〈휴거(휴지거치대)〉, 속죄와 구원의 불빛을 태우는 〈장 발장〉, 형태의 닮은 꼴이 말의 리듬으로 연결되는 〈세 집, 쓰리 캐슬〉, 안에서부터 밖으로 퍼져 나가는 빛으로 산과 수박의 청량함을 담은 〈야호〉, 〈8과 1/12〉, 우연한 발견을 세심하게 반전시킨 〈여름 그늘〉까지. 기억과 장면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며, 안과 밖이 뒤섞이고, 무용함과 유용함이 함께 자라나는 사물+오브제에는 이질적인 것을 메우는 물질적 상상력과 농담이 담겨 있습니다.
작가소개
김홍석(1964년생)
김홍석은 조각, 영상, 퍼포먼스, 설치, 회화, 드로잉, 텍스트,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로 작업합니다. 이 다양성에는 대상을 도구화하지 않기 위한 윤리적인 선택이 담겨 있습니다. 1990년대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공부한 것을 계기로 사유체계 전반에 걸쳐 벗어날 수 없는 서구의 근대성(Modernity)에
의문을 갖게 되었고, 창조하는 미술가가 아닌 반응하는 미술가로서 번역과 차용의 관점에서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베니스비엔날레(2003, 2005), 리옹비엔날레, 후쿠오카트리엔날레(2009) 등 다수의 비엔날레에 참여하였고, 《히어로매니악》(갤러리현대, 2000), 《평범한 이방인》(아트선재센터, 2011), 《좋은 노동 나쁜 미술》(삼성미술관 플라토, 2012),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국제갤러리, 2024) 등 주요 개인전을 열었으며 2012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에 선정되었습니다.
박길종(1982년생)
박길종은 2010년부터 박길종, 박가공, 길종상가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템, 실내 가구, 전시 집기, 공간
디자인 등 한 번의 의뢰에 따른 유일무이한 디자인은 사적 공간인 집, 제도 공간인 미술관, 상업공간인 백화점까지, 다양한 성격의 공간과 개인, 기업, 기관을 아우르는 원동력입니다. 주요 활동은 2011년 《천수마트 2층》(국립극단 소극장 판)에서 그림을 위한 장치 제작, 2014년
《스펙트럼 스펙트럼》(삼성미술관 플라토) 전시 참여, 2015년부터 현재까지 《에르메스 쇼윈도 프로젝트》와 《언리미티드
에디션》 공간 디자인, 2017년 《도면함》(시청각) 전시 공간 디자인과 전시 참여, 2021년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 수장고 시설을 설계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십여 년의 분주한 활동에서도 틈틈이 밝은 눈으로 포착한 풍경과 장면을 조합해, 의심과 농담을 곁들인
첫 개인전 《여름 그늘, 휴거》(시청각랩)를 선보였습니다.
◆ 관람 시 유의 사항
※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 관람료는 무료이며, 주차는 수원컨벤션센터 주차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주차료 유료)
※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 관람시간은 10:00~18:00이며 17:00까지 입장 가능 합니다.
※ 미술관에 관람 예절 안내판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확인 후 안전한 전시 관람 되시길 바랍니다.
※ 관람 예절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입장 제한될 수 있습니다.
※ 미술관 자원봉사자들은 작품의 안전과 관람자들의 안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봉사하시는 분들입니다. 상냥하게 대해주세요.
※ 안전한 전시 관람을 위해 자원봉사자들의 안내에 따라 관람해 주세요.
갤러리